자동차수출전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울트라맨 조회 5회 작성일 2023-04-01 15:53:46 댓글 0

본문

[자막뉴스] 일본 자동차 산업마저 몰락? "2050년엔 차 수출 제로" (2022.06.14/MBC뉴스)

#일본 #일본자동차 #전기차
@degooldegool7197 : 우리나라 충전기 고장난 곳, 지방 곳곳 부실한 관리, 충전기 회사 마다 회원제 없애고 회원카드 없이 아무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으로도 충전 할 수 있는 충전기 통합시스템 개선. 충전기 코드 단일화개발 등 이런 문제 점을 크게 언론 보도해줬으면 좋겠다.
@user-ng9iq8gn1q : 우리나라 전기차 충전기가 10만대 넘는다 해도 고장난게 엄청 많다고함 ... 인프라 유지•관리를 잘해줘야 더욱더 전기차 선진국이 될 수 있을듯
@user-hd3df3eo8u : 전기차를 밀면 프리우스로 대변되는 하이브리드 차 경쟁력을 깎아먹는게 되니 일단 수소연료전지에 올인하고 하이브리드로 유지하면 전기차는 언제든 따라갈 수 있다는 생각으로 전략을 짰지만 테슬라를 위시한 전기차 시장이 너무 급격하게 성장하니 그에 대한 대응이 느렸던게 아닌가 싶네요.
@junyshin5843 : 인터뷰녀 말대로 일본인들은 지진도 항상 생각하고 있는거 같네....
진짜 지진같은거 나서 전기끊기면 자동차로 피신같은것도 못하고 무쓸모인건 맞네....
@user-ob1ul2hf4k : 지진이나 쓰나미 관련해서는 생각을 안해봤네요. 충분히 이유가 될 만합니다. 빨리 도망치거나 피신을 해야하는데 전기 충전이 안되있거나, 충전소를 가야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큰일이죠. 어떻게 보면 신이 준 기회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전기차에 올인해서 일본 넘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네요

반도체 앞지른 車수출…"배가 부족하다"/한국경제TV뉴스

경기침체와 금리인상 영향으로 올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던 자동차 수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완성차 업체는 차를 싣는 자동차 운반선을 구하지 못해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 산업부 신재근 기자와 얘기해 보겠습니다.

#수출 #자동차 #운반선

[기사원문보기]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3280069\u0026t=NNv

△대한민국의 경제를 보세요!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알람설정하세요!

#한국경제TV뉴스 #뉴스플러스 #경제 #투자 #한경
△'한국경제TV 뉴스' 유튜브 구독
https://bit.ly/3nlLPEu
@alnoParuna : 뭐라도 수출 잘되면 좋습니다
자랑스럽습니다
@user-ux7qq7kq4t : 일시적인 것이니 그렇다고 운반선 막 찍어내면 나중에 곤란한 상황이 오겠죠 그래도 운반선 부족한 부분이 그들의 입장에선 가장 효율적입니다
@user-ss9ub5wx7j : 자동차라도 수출이 잘되어 다행입니다
@user-vj9yn9ih3c : 자동차 수출이 10조원이라고 하는 어마어마한 성과이지만, 반도체에 비유하면 아직 한참 멀었네요. 반도체는 그리 큰 수송선이 필요 없어요.
@user-vj1jp5er1e : 이게 반도체도 잘되는데 차가 수출이 잘되서 1등 된게 아니라.. 반도체가 지하실로 내려가서 상대적으로 차가 더 수출되는게 문제인듯...

[자막뉴스] 4년 만에 -62%...일본 차, 그동안 무슨일이? / YTN

일본 최대 자동차 회사 도요타의 고급 브랜드, 렉서스 전시장입니다.

요즘 대세인 전기차는 없고, 하이브리드 차량만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누적 판매량 최다인 중형 세단, 캠리 역시 하이브리드로 출시돼 있습니다.

지난해 캠리는 국내에서 천458대를 판매해 수입차 모델 가운데 51위에 그쳤습니다.

지난 2018년 9천4백여(9465)대에 비하면 판매량이 15%로 급감한 것입니다.

같은 기간 전체 일본 차의 한국시장 판매량은 4만 4천 대에서 만 7천 대로 줄어 -62%를 기록했습니다.

2019년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에 맞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일고, 그 사이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미국과 유럽에서도 안전성과 내구성을 인정받을 만큼 기술력을 끌어올린 결과입니다.

[유영호 / 한국자동차연구원 모빌리티산업정책실장 : (일본 차는) 품질 경쟁력도 현대, 기아차, 제네시스와 같은 국내 브랜드에 역전을 당하면서 크게 경쟁 우위를 상실하게 되는 그런 효과를 갖게 되는 거죠.]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도 도요타는 GM에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

판매량이 9.6% 줄었고, 혼다와 닛산도 각각 32%와 25% 감소했습니다.

하이브리드에만 집중해 전기차 전환에 소홀했던 게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권용주 /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겸임교수 : 전기차 시장이 도약기로 접어드는 단계에서 제품 대응이 늦었다는 측면이 가장 큰 부진의 이유고요. 하이브리드 시장을 지속적으로 끌고 가려고 하는 노력이 있었고요.]

지난해 미국 내 전체 자동차 판매는 1년 전보다 8% 감소했으나 전기차는 점유율이 3.2%에서 5.8%로 크게 오르며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테슬라 구매자를 대상으로 이전 보유 차량을 조사한 결과 도요타와 혼다 등 일본 브랜드가 38%를 넘어 전기차 확대가 일본 차 비중 축소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도요타가 뒤늦게 전기차 모델을 출시했지만, 판매는 미미한 수준이고, 현재 글로벌 전기차 순위에서도 20위 안에 드는 일본 차 브랜드는 1곳도 없습니다.

도요타 그룹은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30종을 출시하고, 연간 350만 대를 판매하기 위해 8조 엔, 약 83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혀 전기차 시장 경쟁은 앞으로 더 뜨거워질 전망입니다.

YTN 박홍구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301242333089222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user-yc9rx6io7u : 전기차때문이라기 보다는 그가격으로 대처할만한 차량들이 많아지니 그런게 아닐까싶음..
@dfas8115 : 일본은 수많은 중소기업들이 있어서 대기업위주의 수출전력도 아니어서 기존의 공정을 쉽게 바꾸거나 그런 측면이 적어서 변화에 늦게 대응하게 되는 것 같음. 한국처럼 대기업위주의 수출주도형은 투자도 집중적으로 할 수 있고 대기업의 요구에 맞게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지만 일본은 그런 점에서는 정반대인 것 같음. 장점인 동시에 경쟁상황에서는 단점인 것 같음.
@johnlee0703 : 어릴적엔 디자인 하면 일본제품이 수준차가 크다고 느껴졌는데 근래에 와선 정말 디자이너들이 있긴 있나 싶음..
@cghi138 : 가까운 미래에 전기차가 대세가 되겠지만 대세가 되기전 전기차환경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많다. 그때까지는
하이브리드도 여전히 매력적일 것.
전기차를 사면 정부 보조금이 지원되는 이유는 환경 때문이 아니다.
서비스가 불편하고 차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그 고통에 대한 댓가를 주는 것일 뿐이다.
@user-cc1tg7jn7v : 전기차가 없는게 문제가아니라 실내가 너무 후짐..솔직히 편의성 상품성으로만 보면 하이브리드가 아직까진 월등함

... 

#자동차수출전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3,003건 51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gangbuklib.seoul.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help@ggemtv.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