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재활총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빙딱 조회 3회 작성일 2023-02-07 00:39:20 댓글 0

본문

‘처벌’보다는 ‘치료’…마약 중독 치료 병원을 가다 / KBS뉴스(News)

마약은 특히 중독성으로 인해서 재범률이 높습니다. 무려 40%에 이르는데요. 그래서 처벌보다는 치료가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1년 전에 비해 마약중독 환자가 두 배 넘게 늘어난 중독전문치료병원을 취재했습니다.
김혜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의 중독 전문 치료 병원.
["(입원하기 전엔?) 심했죠. (누가 쫓아오는 것 같고?) 계속 날 지켜보고 내 얘기 수군거리고..."]
이 병원을 찾는 마약 중독 환자는 지난해보다 두배가 넘게 늘었습니다.
[천영훈/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5월 1일부터 이번주 월요일(6월 17일)까지 저희가 진료봤던, 외래로만 왔던 약물중독 환자인데도 지금 180명이 넘거든요. 임상에서 저희가 접하고 있는 것은, (환자가) 폭발적으로늘고 있다는..."]
마약 투약자에 대한 '치료'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보건복지부가 최근 마약 치료 병원 21곳을 선정했지만 실제론 대부분 환자를 받지 않습니다.
마약 중독 환자는 공격성이 높아 치료가 특히 어렵기 때문입니다.
[조은주/인천참사랑 병원 수간호사 : "치료진을 (환자가) 뒤에서 목을 잡는 경우도 있었구요. 간호사들끼리는 '마약 환자 한 분 있으면 다른 여느 환자들보다 일당 백'이라고 표현을 해요."]
이 병원은 마약 환자에게 입원과 외래 치료를 함께 제공하는 국내 거의 유일한 곳입니다.
이 때문에 늘 환자들로 북적입니다.
[마약 중독 환자/음성변조 : "(우리나라에서) 굉장히 쉽게 마약을 접할 수 있다고 저는 이제 생각이 들거든요. 근데 그거에 비해서 치료 프로그램 이런 부분이 생각보다 많이 없더라고요."]
마약사범 치료에 정부가 더욱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마약) 단순 투약자에 대해선 국가에서 치료를 명령하고, 그래서 그것을 강제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만 만들어도, 의사 입장에서는 훨씬, 그런 시스템이 갖춰지면 안전하게 치료를 할 수 있거든요."]
국내 마약 사범은 해마다 만 오천명 남짓, 재범율은 무려 40%에 이릅니다.
KBS 뉴스 김혜주입니다.
바니 : 치료가 아니고, 그냥 고문이 아닐까?
미친 중독자들 고통스러운데 가둬두고..참게하니
nice jang : 어디서그렇게 구하냐......
인효 정 : 천원장은 환자 받는데 급급합니다
인효 정 : 역시 캐ㅣ배스
인효 정 : 이 병원서 교부되는. 정횡이 있는데 치료진은 묵고합니다 사건 된것도. 있고요

제133강:약물없이 중독으로 고장난 뇌를 재활 시키는 비법 공개

약물없이 중독으로 고장난 뇌를 재활 시키는 비법 공개: 중독으로 폐인된 사람의 뇌를 천재로 바꿀 수 있습니다. 얼마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넷플릭스에서 큰 관심을 모은 바 있습니다. 어떻게 자폐증에 걸린 사람이 천재 변호사가 될 수 있을까? 사람들은 의아해했습니다. 적의 칼로 적을 제거하는 전략을 차도살인이라 하는데, 중독으로 인해서, 형성된 뇌회로를 역이용해서, 가장 생산적인 뇌로 바꾸는 길이 존재합니다. 이는 철저히 뇌과학의 분자 생물학적 수준에서 그 원리를 이해할 때 가능해 지는 것입니다. 제 강의 131강, 132강에 달린 댓글을 보면서, 제 마음이 참 슬펐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자기도 어찌할 수 없는 충동으 로 고민하는 것을 보고, 도와 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동안 제 유튜브 채널을 응원주시고, 후원해 주신 모든 분께 그 은혜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이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이 강의를 모두 이해하고 나면, 평생에 한번 듣기 어려운 원리에 큰 깨달음이 생기고, 여러분의 삶에 큰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합니다. 저는 여러분의 고민과 고통에 항상 귀를 기울이는 의사가 될 것을 다짐합니다.
이규상 : 내가 해야하는것 쓰기.

1번 갈망이오면 냉수샤워하면 이러저러한이유로 갈망이 0이된다.
샤워를위해 늘 반라상태에있자

2번 도박장에서담배피며술마시며이성꼬시면
줄줄이 중독되듯,
음악들으면서 공부등을하면 공부에중독된다.
추가로 술과담배를 배운후 공부를동시에 같이하면 공부의재미가4배좋아진다.

3번 장에서 뇌에 억제기가있으므로 장을건강케하자. 좋은거잘먹고나쁜거먹지말고, 보충사항으로 각종류별유산균+유산균먹이(식이섬유)을 들이부어주자.
특히막걸리가 그렇게 장건강에좋다고한다.
Jun Jang : 스마트폰, sns 통해서 이미 현대인들 대부분 도파민 중독된거같은데 꼭 필요할거같네요
ji ki : 정말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게 방법을 제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중독과 도파민에 대해서 고민이 많았는데 한결 마음이 가볍네요
Experience Diversity : 박사님은 몸과 마음 모두 부분에서 정말 뛰어나신분인것같습니다. 항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Marang Jo : 3가지 방법으로 요약해주시니 쉽게 이해가 되고 유용하네요. 전부터 어르신들이 인생이 무료 할 떈 육체노동을 해보라거나 금식을 하라거나 그런 방법을 말씀해주시던데 신체에 스트레스를 주는게 정말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걸까 많은 의문을 가졌었지만 설명을 듣고보니 찬물 샤워와 비슷한 과학적인 맥락이 있는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늘 새롭고 더 자극적인 것만 찾는 젊은 혈기와 모험심이 가끔은 정신건강을 해치기도 하는데 최근 많은 논란이 되듯이 부와 명예를 가진 유명인들이 더 이상 추구할 쾌락이나 보상이 없어서 종국엔 마약에 빠지게 되는 것도 그러한 맥락이 존재하는 거 아닐까 싶어요.

치료 기관이 없어 딸을 직접 케어하는 황하나의 아버지... 출소한 마약 중독자들의 현실 | 시사직격 KBS 221118 방송

집행유예 기간 중 필로폰 투약으로 징역 1년 8개월을 선고받고 수감됐던 인플루언서 ‘황하나’ 씨가 최근 출소했다. 《시사직격》에서 만난 황하나 씨는 아버지 ‘황재필’ 씨의 도움을 받아 단약 중에 있었다. 구속 수감되었던 시간까지 더하면 2년 넘게 단약에 성공하고 있지만, 황하나 부녀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 마약은 평생에 걸쳐서 재활치료를 해야 하기에 지금부터가 시작이라는 것이다. KBS《시사직격》은 단약에 성공하여 다른 중독 환자를 돕고 싶다는 황하나 씨와 치료기관의 열악함 때문에 딸을 직접 케어하는 황재필 씨를 만나보았다.
전문가들은 마약 중독을 치료가 필요한 뇌질환이라 말한다. 2021년 마약 재범률은 36.6%로 재발률이 높은 마약중독의 특성상 형사 사법 비용 등 사회적 비용이 크기 때문에 재활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검거와 동시에 재활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마약사범이 구치소에 구금된 바로 그 시기가 중독 치료의 ‘골든타임’인 것이다.
한국 사회의 일상 속으로 파고든 마약중독의 치료와 재활을 들여다본다.

탐사 보도의 노하우와 정통 다큐멘터리의 기획력을 더했다! 《시사직격》
일본 강제동원 손해배상사건과 제주 4.3 군사재판 희생자들의 재심사건 담당.
거대한 국가 폭력에 항거하는 피해자의 곁을 묵묵히 지켰던 임재성 변호사와 함께합니다.

매주 금요일 밤 10시, KBS 1TV 방송
✔ 제보 : 010-4828-0203 / 시사직격 홈페이지 / betterkbs@gmail.com
▶홈페이지 : http://program.kbs.co.kr/1tv/culture/direct/pc/index.html
▶트위터 : https://twitter.com/KBSsisajg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kbssisajg1
▶인스타그램 : www.instagram.com/kbssisajg
▶저작권·이의제기 등 유튜브 영상문의 : ssjkkbs@gmail.com
@sunhokwon8933 : 남편이..... 괸장히 의문스럽게 사망함...
@user-ol5my1ws9r : 아버지복은있네.. 저렇게까지 관심있게 돌봐주다니..
@zorococo1993 : 부모가 돈이 있어야 케어가 되지 않을까
저거 진짜 와...
지옥이야 저건 진짜
나 뿐만아니라 가족들까지ㅠ
@lakelouise9354 : 마약을 끊은 사람은 이 세상에 한명도 없다고 합니다. 평생 참을 뿐이래요.
@user-fj6ht8vy3t : 돈있든없든 아버지부정이 대단하시다

... 

#중독재활총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2,295건 49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gangbuklib.seoul.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help@ggemtv.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