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남대문지기 조회 4회 작성일 2022-08-30 09:04:42 댓글 0

본문

[중등국어/중등인강] 중3 천재(노) "아름다운 우리말"

울 지니어스들을 위해 ! YOU쌤이 알짜 개념을 들고 왔습니다 ! ^^**

"출판사 별로 다른 개념 설명... 무슨 차이지?"
유쌤의 강의 한 번이면 궁금증 해결 ! ♡

여러분의 국어 탄탄길에 유쌤이 함께 할게요 **^_____^**

FULL 버전은 어디~? 엠베스트에서~!
질문, 답변도~? 엠베스트에서~!

↓↓↓↓↓↓↓↓↓↓↓↓↓↓↓↓

✔️ 자세한 강의는 엠베스트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http://www.mbest.co.kr/teacherroom/new2012/main_tec/main_tec.asp?sbj_key=3\u0026sbj_key_class=3\u0026tec_key=195268

누적 수강생 40만 강의 만족도 100%
만점으로 가는 지혜로운 선택
수강생들의 최고 파트너는 단연코 대한민국 중등 국어 대표 YOU쌤입니다!

#중등국어 #중3국어 #유현진 #엠베스트 #천재(노) #아름다운 우리말
스팸맨2 : 왜 댓이 0개지

[한글날] 뜻이 예쁜 순우리말을 알아봅시다 / 순 우리말과 한글날



아름다운 순우리말 100가지

아름다운 순우리말 100가지

1. 예그리나: 사랑하는 우리 사이

2. 온새미로: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3. 라온제나: 즐거운 나온

4. 시나브로: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5. 가랑비: 조금씩 내리는 비

6. 가온길: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가온대: 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7. 가온누리: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옛말)의 중심(가온대: 옛말)이 되어라.

8. 그루터기: 나무나 풀 따위를 베어낸 뒤의 남은 뿌리 쪽의 부분

9. 그린나래: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

10. 길가온: 길 가운데

11. 꽃가람: 꽃이 있는 강

12. 꽃내음: 꽃의 냄새

13. 늘솔길: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14. 도란도란: 나직한 목소리로 정답게 서로 이야기하는 소리

15. 도래솔: 무덤가에 죽 늘어선 소나무

16. 도리도리: 어린아이가 머리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

17. 마중물: 펌프에서 물이 안 나올 때에 물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위로부터 붓는 물

18. 멱부리: 턱밑에 털이 많은 닭

19. 미리내: 은하수

20. 미쁘다: 믿음성이 있다

21. 미투리: 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

22. 비마중: 비를 나가 맞이하는 일

23. 살랑살랑: 조금 사늘한 바람이 가볍게 자꾸 부는 모양.

24. 서리서리: 국수나 새끼 등을 헝클어지지 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 감는다는 것

25. 송아리: 열매나 꽃 등이 잘게 한데 모이어 달린 덩어리

26. 아지랑이: 봄날 햇빛이 강하게 쬘 때 공기가 공중에서 아른아른 움직이는 현상

27. 안다미로: 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28. 여우비: 해가 난 날 잠깐 내리는 비

29. 우수리: 물건 값을 치르고 거슬러 받는 잔돈

30. 이슬비: 조금씩 내리는 비

31. 재넘이: 산으로부터 내리 부는 바람

32. 죄암죄암: 젖먹이가 두 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

33. 해찬솔: 햇빛이 가득 차 더욱 푸른 소나무

34. 희나리: 채 마르지 않은 장작

35. 흰여울: 물이 맑고 깨끗한

36. 여울가녘: 가장자리. 여가리.

37. 개미: 맛에 있어서 보통 음식맛과는 다른 특별한 맛으로 남도 음식에만 사용되고 있는 말.

38. 가론: 말하기를, 이른 바(所謂).

39. 가시: ① 안해, 아내(妻는 가시라) ② 계집

40. 개랑: 매우 좁고 얕은 개울.

41. 개힘: 본래 있는 힘이 아니고, 분위기나 기분에 휩쓸려서 일시적으로 나는 힘.

42. 걸 때: 사람의 몸피의 크기.

43. 한무릎: 한동안 착실히 하는 공부.

44. 한지잠: 한데에서 자는 잠.

45. 한추렴: 여럿이 추렴할 때의 그 한 몫. -한추렴 들다-는, - 추렴하는 데에 한 몫 끼거나 이득을 본다 - 는 뜻이다.

46. 간조롱: 가지런.

47. 해지개: 해가 서쪽 지평선이나 산너머로 넘어가는 곳.

48. 가욋길: 기준이나 필요 밖의 길. 즉, 안 가도 되는 길.

49. 가을귀: 가을의 예민한 소리를 들어내는 섬세한 귀를 비유한 말.

50. 해까닥: 갑자기 얼이 빠지거나 정신이 나간 모양.

51. 해뜰참: 해가 돋을 무렵.

52. 가지등: 가로등. 기둥이 갈래를 이루어 두 개 이상의 전등이 달린 것을 말함.

53. 해대기: 적을 쳐부수기 위하여 앞으로 나아감. 공격.

54. 허리달: 연의 가운데에 가로 붙인 대.

55. 매미꽃: 애기똥풀과의 다년초.

56. 갈매빛: 검은 빛깔이 돌 정도로 짙은 초록 빛. 흔히 멀리 보이는 아득한 산빛이 이런 빛을 띰. 진갈매는 매우 짙은 검푸른색.

57. 맥적다: 심심하고 무름하다.

58. 맨마루: 일의 진행에서 가장 고비가 되는 곳. 절정.

59. 맞손질: 서로 맞서 때리는 일. 즉, 마주 싸우는 짓.

60. 맞빨이: 딴 옷이 없어서 옷을 빨아 말려서 바로 입도록 하는 빨래.

61. 맛조이: 마중하는 사람. 영접하는 사람.

62. 맛깔손: 맛깔을 내는 손. 즉 좋은 요리솜씨.

63. 한말글: 우리 나라 말과 글.

64. 맺음새: 일 따위를 마무르는 모양새.

65. 머슴밥: 수북하게 많이 담은 밥. 머슴이 밥을 많이 먹는 데서 나온 말.

66. 머즌일: ①궂은 일 ② 재화(災禍).

67. 갈기슭: 갈대가 우거진 비탈.

68. 먹딸기: 아주 새빨간 딸기. 붉은 색이 지나쳐 먹빛으로 보인다.

69. 멈짓체: 잠깐 멈추는 체. 또는, 짐짓 멈추는 듯함.

70. 한뎃집: 한데에 허술하게 지어 놓은 집.

71. 맨삶이: (고기나 생선 따위를) 간을 하지 않고 삶거나 찌는 일. 또는 그렇게 만든 음식.

72. 가림새: 숨기거나 감추는 바

73. 흙이랑: 물가에 생긴 흙의 주름. 물결의 출렁임에 따라 저절로 생긴다.

74. 휑하니: 주저하거나 거침 없이.

75. 훌림목: 애교 띤 목소리.

76. 훌걸이: 싸잡아 걸어서.

77. 휘들램: 이리저리 마구 휘두르는 짓.

78. 흡뜨다: 눈알을 굴려 눈시울을 위로 치켜뜨다.

79. 흰두루: 백두산의 다른 이름. [흰+두루(다)]의 결합. 항상 흰구름을 이마에 두르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80. 흰여울: 물이 맑고 깨끗한 여울.

81. 흰추위: 온누리가 눈과 얼음으로 얼어붙은 한겨울의 추위. 추위를 빛깔로 형상화한 말이다.

82. 가리매: 실내에서 편히 입을 수 있게 만든 옷. 위아래가 통으로 되어있고, 단추가 없이b그냥 둘러걸쳐 허리띠를 메게 되어 있다.

83. 찬바리: 짐을 가득 실은 바리.

84. 허리품: 허리를 쓰는 일. 즉 요분질.

85. 횃대비: 굵게 좍좍 쏟아지는 빗줄기.

86. 횃눈썹: 가장자리가 치켜 올려 붙은 눈썹.

87. 황소숨: 식식대며 크게 몰아쉬는 숨.

88. 황소눈: 크고 굼뜨게 끔뻑거리는 눈.

89. 화가마: 불을 지펴 놓은 가마.

90. 홀림길: 어지럽게 갈래가 져서 섞갈리기 쉬운 길.

91. 호습다: 무엇을 타거나 할 때 즐겁고 짜릿한 느낌이 있다.

92. 헤벌심: 입 따위가 헤벌어져 벌쭉한 모양.

93. 헛장사: 이윤을 남기지 못하고 하는 장사.

94. 헛소동: 공연히 일으키는 헛된 소동

95. 헛매질: 때릴 듯이 위협하는 짓. 또는 빗나간 매질.

96. 헛나발: 헛소리의 속된 말.

97. 가시내: 계집아이. 가시내라는 말은 계집애라는 뜻으로서, 전라도 지방에서 많이 쓰이는 말이다.

98. 허우룩: 마음이 매우 서운하고 허전한 모양.

99. 가막새(순우리말): 까마귀, 까치 등 검은 빛의 새.

100. 참없다: 그치거나 멈춤이 없다.

nara_story
시초 : 어려워도 어색해도 너무 이쁜 우리 말....
몰랑 몰랑 : 순우리말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써야 합니다. 요즘 주위에는 간판들도 다 파리바게트, 데시앙 등 영어입니다. 그래서 어린 아이들은 우리말 보다 영어가 더 멋지고 좋다고 생각할 것 입니다. 그런 일을 막기 위해서는 이상하다 생각해도 순우리말, 우리 한글을 더욱더 퍼뜨리고 써야 합니다. 우리말은 소중합니다. 우리에게는 영어보다 한글이 더 중요하고, 소중합니다. 많은 조상님들의 희생과 노력, 우리말을 지키려는 의지를 중요시 해야 합니다. 우리말과 글을 잊으면 우리 민족도 없었던 것 처럼 되고 쉽게 다른나라의 식민지가 될 것 입니다. 우리말 한글을 소중히 합시다. 제 글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태형 : 아름다운 순우리말 공유합니다
고맙습니다
청연 : 온새미로는 제가캘리그라피에 썼던말인데 2번째로 있으니까 뭔가 반갑네요
freeman : 시나브로...처음 들을때 아주 예뻣음.

... 

#아름다운 우리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4,277건 169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gangbuklib.seoul.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 help@ggemtv.com